On Kim

  • H
  • Works
    • Volume vs Volume
    • PhonicAphonic
    • Almost Nearly Fulfilling
    • Sunha’s Text for Reading; Dam
    • Jacques Denuitmain’s Poem
    • Listeners' Story from Afar
    • How to use the Voice between
    • Hors-chapitre
    • Marginalia
    • 47pages
    • Surfaces of Listening
    • A Certain Reading
    • Around the World of the Wolfer
    • Around the World of the Wolfer
    • Practice of Writing for Listen-
    • Devices for Anechoic Room
    • Composition-Emotion of Gra..
    • Tous les passés du monde
    • Tamed Poetry
    • Composition - Emotion of Gra...
    • Practice of Writing for Listen-
    • Rêve lucide
    • Utopie d'un homme qui est
    • Un tel lieu n'existe pas
    • Le son "ㄱ" intervenu dans un...
    • Cette ancienne chimère
    • Choeur mécano-organique
    • Durée intime 215minutes 44sec...
    • Espionner le temps
    • J'entre aux toilette
    • Livre à fumer -devenir-
    • Livre parallélipipède ni ouvert ni
    • Livre infini
    • Fictions n.1-n.6
  • Performances
    • Other’s Humming
    • Red Reading
    • Green Reading
    • The Keepers of Sheep
    • How to use the Voice between
    • Ready-Read
    • WHR-Poetry
    • There is no repetition
    • Never Once. Obviously.
    • Tapage nocturne
    • All Past Moments in the World
    • Peace Unlike Any River
    • Costume Play
    • Dialogue Sound-Writing
    • La révolution littéraire d'un bis...
    • Lire 'Alice aux pays perdu'
  • Drawings
    • Equalizer Drawing
    • Tellement maladroite
    • Track
    • Dialogue Sound-Writing
    • Partition-Drawing #1,#2
    • La chambre d'écoute
  • Radios
  • Publications
    • Artist Book
    • Contributions
  • Info
    • Interviews
    • Texts | ​Reviews
    • Contact

Jacques Denuitmain’s Poem for Watching; Vexations
2018

​​
​Jacques Denuitmain’s Poem, print on paper, post-it, 151 x 78.8 cm

​



​

​
​바라보기 위한 자크 드뉘망의 시; 벡사시옹
​


2018
​

​
​자크 드뉘망의 시, 종이에 프린트, 포스트-잇, 151 x 78.8 cm

​
Picture
Picture





​단 한 편의 시를 구입할 수는 없는 것인가? 라는 질문은 자끄 드뉘망 시인에게 시 한 편을 의뢰, 구입하여 문학 영역 기반의


유통 방식이 아닌 마치 그림처럼 컬렉션하여 전시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자끄 드뉘망 시인에게 한 편의 시를 의뢰하면서 미리 제시한 시각적 구성요소 정보는 아래와 같다.




자끄 드뉘망 시인님께


1. 종이는 신문 용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종이의 크기는 가로 90cm 이하이며 세로는 미정입니다.


3. 글자의 색상은 '핑크색'으로 불리는 일명 ‘Fuchsia’라고 지칭합니다.


4. 글자의 크기는 미정입니다.


5. 완성된 시 한 편이 도착하면 모든 시각적 요소를 정합니다.



6. 이 글은 딱 한번만 읽어주세요.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망각을 권한다.


창작된 한 편의 시는 읽기위한 시보다는 바라보기위한 시로 시각적인 재가공이 이루어진다.



​
​



Jacques Denuitmain 자끄 드뉘망


징후의 세기에 태어나 첫 시를 쓰는 순간 스스로 사망 선고를 내렸다. 친구들의 도움으로 첫 시집을 낸 뒤 사라지려고 했지만


열광과 오해,질투와 비난 속에서 다시 태어나 이름을 더럽히며 계속 시를 쓰고 있다. 친구들은 하나둘 떠나고 400편의 유고가


실리게 될 마지막 시집 『400번의 매질』을 쓰며 죽음을 기다리고 있다. 지은 책으로 시집 『뿔바지』(울리포프레스, 2012)와

​
『자연사』(울리포프레스, 2015)이 있다.






















































​

Powered by Create your own unique website with customizable templ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