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Kim

  • H
  • Works
    • Volume vs Volume
    • PhonicAphonic
    • Almost Nearly Fulfilling
    • Sunha’s Text for Reading; Dam
    • Jacques Denuitmain’s Poem
    • Listeners' Story from Afar
    • How to use the Voice between
    • Hors-chapitre
    • Marginalia
    • 47pages
    • Surfaces of Listening
    • A Certain Reading
    • Around the World of the Wolfer
    • Around the World of the Wolfer
    • Practice of Writing for Listen-
    • Devices for Anechoic Room
    • Composition-Emotion of Gra..
    • Tous les passés du monde
    • Tamed Poetry
    • Composition - Emotion of Gra...
    • Practice of Writing for Listen-
    • Rêve lucide
    • Utopie d'un homme qui est
    • Un tel lieu n'existe pas
    • Le son "ㄱ" intervenu dans un...
    • Cette ancienne chimère
    • Choeur mécano-organique
    • Durée intime 215minutes 44sec...
    • Espionner le temps
    • J'entre aux toilette
    • Livre à fumer -devenir-
    • Livre parallélipipède ni ouvert ni
    • Livre infini
    • Fictions n.1-n.6
  • Performances
    • Other’s Humming
    • Red Reading
    • Green Reading
    • The Keepers of Sheep
    • How to use the Voice between
    • Ready-Read
    • WHR-Poetry
    • There is no repetition
    • Never Once. Obviously.
    • Tapage nocturne
    • All Past Moments in the World
    • Peace Unlike Any River
    • Costume Play
    • Dialogue Sound-Writing
    • La révolution littéraire d'un bis...
    • Lire 'Alice aux pays perdu'
  • Drawings
    • Equalizer Drawing
    • Tellement maladroite
    • Track
    • Dialogue Sound-Writing
    • Partition-Drawing #1,#2
    • La chambre d'écoute
  • Radios
  • Publications
    • Artist Book
    • Contributions
  • Info
    • Interviews
    • Texts | ​Reviews
    • Contact

Other’s Humming





On Kim, Humming Project, 2021


Scores on the stage, participatory performance


Humming Performers:


Doe Jaemyoung


​Lady Rocket


Jung Marie



Commissioned by Seoul Museum of Ar

​








​
Picture






김온은 읽고, 듣고, 쓰는 몸짓과 이 행위가 짓는 관계에 주목하며, 음성이라는 지극히 개별적인 속성을 지닌 매체를 통해 짧


은 시간 시공에 형성되는 공동성(commonality)에 깊이 천착해 왔습니다. 《사랑을 위한 준비 운동》을 위해 작가는 허밍으로


전이되는 감응의 공동체를 상상합니다. 아직 사랑을 말하기 전, 언어가 아닌 몸과 마음에서 저절로 이는 감흥으로서 저마다


의 허밍은 강한 전염성을 띤 매체이자 언어를 넘어서는 표현입니다.


<타인의 허밍>을 위해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정원에는 원형의 무대가 마련됩니다. 그 위에는 한글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


한 이미지 악보가 놓입니다. 관람객은 악보 위를 자유로이 움직이며 형체가 만드는 시각의 리듬에 몸과 마음을 맡긴 채 멜


로디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다른 관람객들 역시 자신의 신체조건과 마음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향과 속도로 무대 위를


움직입니다. 악보를 읽는 순서와 방식은 물론 크기도 다른 여러 허밍들은 무대를 둘러싼 다채로운 선율을 만들어 냅니다.


프로그램 기간 동안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될 허밍 퍼포먼스에서 뮤지션들(도재명, 로케트 아가씨, 정마리)은 제안된 악보의


다채로운 독해 가능성을 보여 줄 예정입니다. 허밍을 통해 전이되는 다중의 감응 릴레이가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기대합니


다. 



On Kim has been inquiring into commonality that forms momentarily in space and time through sound, a medium that is


distantly detached, while focusing on the gestures of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the relationship bonded in these acts. For


as the Practice of Leraning, she imagines a responsive community that is transferred through humming. Before we speak of love,


as a non-verbal inspiration raised from minds and bodies, each humming is communicable medium that goes beyond linguistic


expression.




The round stage was designed for Other’s Humming in the garden of Nam-Seoul Museum of Art. A visuel score consisting of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is placed on this stage. Visitors are encouraged to compose a melody by creating the flow of


the score and letting the visual rhythm shaped by the moves take control of their bodies and minds. Meanwhile, others also


move around the stage in all different directions and paces according to individual physical condition and state of mind. A


variety of hummings, interpreted in every sequence and way, harmonize with the colorful melody resonating through the


​​stage.




Picture
Humming performers; Jung Marie  정마리
​

​
Picture
Humming performers; Lady Rocket 로켓트 아가씨

​


Picture




​





​

Humming performers; Doe Jaemyoung 도재명







​Other’s Humming 은 한글 자음과 모음을 해체 구성한 이미지 악보를 통한 허밍 프로젝트이다.


언어 vs 언어의 대응은 무의미할 경우가 있다. 언어가 이루어지기 전, 몸과 마음에서 발생되는 자연적 음조와 성조, 말하자


면 저절로(spontaneous) 일어나는 멜로디는 언어를 아우르고 넘어서는 힘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콧노래', ‘허밍(humming)'


이라 한다. 허밍은 언제 어디서나 혼자 표현할 수 있는 무언의 독백이자 노래이다. 허밍은 기쁨이나 만족감의 음율적 징표


이면서 또는 스스로에게 주는 위로나 위안이라는 자의적 표식이다. 듣는 타인이 옆에 있다면 허밍 노래의 감응에 전염된다.


그리고 우리는 달가운 연대감을 미약하게나마 빛의 속도로 모양새를 갖추며 전진한다.


언어 vs 언어의 대응은 무의미한 경우가 있다. 하물며 그것이 사랑이라면 말이다.





​김온

Powered by Create your own unique website with customizable templates.